-
Notifications
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- Fork 1
/
Copy path보조지표 설명.txt
53 lines (38 loc) · 2.67 KB
/
보조지표 설명.txt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매수타이밍
볼린저 밴드 하단을 뚫었다. (씨게뚫으면 뚫을수록 강함)
RSI가 30%, MFI 50%미만, MACD<0, %R <-80%,
매도타이밍
볼린저밴드 상단을 뚫었다.
RSI 80%, MFI 50%이상, MACD>0, %R >-20%
RSI(relative strengtg index)(상대강도지수)
RSI= RS/(1+RS), RS = N일간의 상승폭의 평균/N일간의 하락폭의 평균
70%이상일 시에는 초과매수 국면, 30%이하일 시에는 초과매도 국면
유의사항 :
1. 가격형성이 잘 안되어 있는 시장에서는 통하지 않는다.
2. 횡보하는 장에서는 RSI가 50%를 중심으로 큰 폭 없이 상하향을 반복하여 지표로 쓰기 부적합
3. 호재에 의한 상승이면 지수가 70% 이상이어도 계속 상승하는 경우가 많다. 즉 과매수가 아님
MFI(money flow index)
RSI의 업그레이드 버전, RSI에 거래량이 더해짐 -> RSI보다 둔감함
MFI = MR/(1+MR), MR= PM/NM, PMF(Postive Money Flow), NMF(Negative Money Flow) , MF(Money Flow) = 거래랑 * 평균가격, 평균가격 = (고가+저가+종가)/3
MACD(이동평균 수렴확산지수)
MACD = 단기이동평균선(12일선) - 장기이동평균선(26일선)
MACD >0 : 단기적으로 상승한 과열구간으로 판단, 단기 이동이 장기보다 많기때문
MACD <0 : 단기적으로 하락한 침체구간으로 판단, 단기 이동이 장기 이동보다 적기 때문
MACD = 0 : 장/단기 이동평균선이 교차 돌파하는 구간 골든 크로스 or 데트 크로스 발생
볼린저밴드
상한선과 하한선 표준편차에 의해 산출된 이동평균값
움직임이 클 때 : 밴드의 폭이 넓어짐
움직임이 작을 때 : 밴드의 폭이 좁아집
투자요령 :
1. 밴드의 폭이 축소되면서 밀집구간을 거친 후 상단밴드를 돌파할때 매수, 하단밴드에서 하향이탈할 때 공매도
2. 추세추총기법 : 주가가 상단밴드에 접근할 때, 각종 지표들이 주가의 강세를 확증하면 매수,
주가가 하단밴드에 접근 -> 약세 -> 매도
3. 반전 기법 : 주가가 상단 밴드를 여러번 건드리는 반면 주가지표는 점진적 약세를 보일때,
그리고 주가가 하단밴드를 여러번 건드리는 반면 지표는 점진적 강세를 보일 때 주가흐름의 반전을 예측할 수 있다.
윌리암스 %R
%R =(기간 중 최고가 - 종가)/ (기간중 최고가 - 기간중 최저가)*(-100)
-80%이하 : 과매도 구간 - 매수신호
-20%이상 : 과매수 구간 - 매도신호
CCI 지표
현재값과 이동평균값과의 차이를 이용, 미래의 방향성과 탄력성을 추정
CCI값이 높을수록 현재가격이 이동평균값보다 높아지는 차이가 커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