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commit 규칙
<type> : <subject> <body>
예시)
Feat: 회원 가입 기능 구현 SMS, 이메일 중복확인 API 개발
-
type
-
태그 : 제목
의 형태이며,:
뒤에만 space가 있음type description Add 새로운 기능 추가 Fix 버그 수정 Docs 문서 추가/수정 Refactor 코드 리펙토링 Test 테스트 코드, 리펙토링 테스트 코드 추가 Move 파일, 폴더 경로 변경
-
-
Subject
-
제목은 최대 50글자가 넘지 않도록 하고 마침표 및 특수기호는 사용하지 않는다
-
영문으로 표기하는 경우 동사(원형)를 가장 앞에 두고 첫 글자는 대문자로 표기
(과거 시제를 사용하지 않는다)
-
제목은 개조식 구문으로 작성한다 → 완전한 서술형 문장이 아니라, 간결하고 요점적인 서술
-
-
Body
- 본문은 한 줄 당 72자 내로 작성
- 본문 내용은 양에 구애받지 않고 최대한 상세히 작성
- 본문 내용은 어떻게 변경했는지 보다 무엇을 변경했는지 또는 왜 변경했는지를 설명
- Commit 하는법(중요)
- 기본적으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아닌 터미널로 파일을 직접 지정해 commit작업을 수행한다.
- 기능을 한번에 커밋하는게 아닌 작은 기능 하나하나씩 커밋 해가면서 진행한다.
- 기능을 만들기 전에 issue란에 자신이 구현해야할 기능들을 작성한다 (네이밍 자유)
- #~~의 숫자를 기억하고 기능을 새로 만들어 미완된 기능이나 완성된 기능을 commit시엔 branch를 기능#~~로 새로 만들어 commit 후 push 한다.
- login#34 branch 생성 후 위의 커밋 규칙에 따라 commit→push한다
- push전엔 누군가 pull request를 한지 확인하고, 있다면 pull request를 먼저 처리한 후
- git pull origin main을 통해 받아온 다음에 push 를 진행한다.
- 기능이 모두 완성었다고 판단되면 branch를 삭제한다.
- 만약 오류나면 다시 클론 받고 새로운 branch를 생성하면 거의 해결된다..
-
-
네이밍 규칙
-
유니코드를 포함한 어떤 문자든지 사용가능
- 단, 특수문자, 수학 기호, 화살표, 개인용 유니코드, 선 등 사용 할 수 없다.
- 단,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.
- 단, 공백이 포함되면 안된다.
- 단, 해당 코드 범위 내에서 미리 사용되는 기존 이름과 동일한 이름은 사용하지 말 것
-
이름 읽었을 때 무슨 역할을 하는 건지 파악 가능해야 한다.
-
명사, 동사 또는 전치사로 이루어진 단어를 연결하여 만든다.
-
시작 단어를 제외한 모든 단어의 시작은 대문자로 하고 그 이외의 모든 문자는 소문자로 한다.
-
반복문을 사용할 때 index or employee 대신에 i,e를 사용하기
-
범위에 한 줄만 있어도 중괄호를 추가한다.
-
대소문자를 구별해야한다.
- Var와 var는 다르다.
-
스위프트에서 미리 정한 키워드 및 데이터 타입 이름은 사용할 수 없다.
-
접두사 규칙 : 팀이니셜 혹은 다른 은유어들이 2자를 넘지 않도록 만든다.
-
변수명, 함수명을 지을 때 따로 정해진 규칙은 없지만 보통 "헝가리안 표기법" 지키면 좋다.
-
-
파일명
- 파일명의 단어 첫글자는 대문자로 한다
-
클래스, 구조체,익스텐션, 프로토콜, 열거형 이름
- 대문자의 명사로 시작
- UpperCamelCase 사용
- ex) CalendarCountClass
-
함수, 메서드, 인스턴스 이름
- LowerCamelCase 사용 (소문자의 동사로 시작 : countValue)
- 함수명
- 값의 초기화 : 접두사 init 붙인다.
- 값의 설정 : 접두사 set 붙인다.
- 값 얻어오기 : 접두사 get 붙인다.
- 값 추가 : 배열 등에 값 넣을 시 접두사 push 붙인다.
- 값 빼오기 : 배열 등에서 값 빼올 시 접두사 pop 붙인다.
- 생성 : 접두사 create
- 열기 : 접두사 open
- 닫기 : 접두사 close
- Bool 값 : 접두사 is
- 어떤 행위를 한다 : 접두사 do
- 입력받는다 : 접두사 input
- 저장, 기록 : 접두사 save, write
- 반환값이 있다, 함수가 무엇인가 나오거나 추출되어질 경우 : 접두사 get, extract, read
-
변수, 상수 이름
- LowerCamelCase 사용 (소문자의 명사로 시작 : myValue)
- 변수
- 지역변수 : 소문자의 명사로 시작
- 전역변수 : g_ 로 시작하기
- 루프변수
- 리스트 : 접미사 List 붙여주기
-
함수 만들때 규칙
- 3번 이상 호출되지 않을 경우 함수로 만들지 않기
- 간단한 한줄짜리 코드를 함수로 만들지 않기
- 내부에서만 도는 함수는 fileprivate / private로 정의하기
- 함수가 너무 길어진다면 짤라서 함수 호출 할 수 있고, 주석처리로 단위를 나눌 수 있다.
- 전제조건으로 함수는 nil을 받지 않는다.
- 만약 nil을 받을 경우 함수이름 orNil을 붙여준다.
-
Asset 이름
- UpperCamelCase 사용
- 공백은 언더스코어(_)로 대체한다.
- 접두어에는 폴더명, 컴포넌트명, 디자인 고유명이 있다.
- 각 접두어는 언더스코어로 구분된다.
- 여러 접두어를 사용할 경우 ‘폴더명’, ‘컴포넌트명’, ‘디자인 고유명’ 순으로 사용한다.
- ex) welcome_logo_large.png
-
접두어 모음
-
폴더명
- main
- 아래의 tabbar의 핵심파일명 등
-
컴포넌트명 (HIG에서 언급하는 UI Controls, UI Bars를 짧게 표현한 것)
- navbar
- tabbar
- toolbar
- searchbar
- bar
- control
- btn
- switch
- stepper
- slider
- spinner
-
디자인 고유명 (아이콘이나 로고와 같이 디자인에서 통상적으로 쓰이는 고유명사)
- icon (아이콘)
- logo (로고)
- bg (백그라운드컬러 등)
- arrow (뒤로가기 or 이동하기 버튼)
- home (홈 화면이나 메인화면 아이콘 등)
-
그 외 다양한 접미어 모음 (색상이나 크기, 위치, 순번, 테마, 상태 등)
- 색상: reader_color_black.png
- 크기: welcome_logo_large.png
- 위치: selection_arrow_left.png
- 순번: customfont_tutorial_1.png
- 테마: icon_pagination_left_d.png
- 상태: icon_freebook_on.png
-
-
Color
- 구성요소(공용으로 두루두루 사용되면 main)_특징(생략가능)_색상
- main_light_blue
- main_dark_gray
- home_gray
- 구성요소(공용으로 두루두루 사용되면 main)_특징(생략가능)_색상
-
font
- 미리 지정해서 전체 적용(pretendard)
-
-
forked from Armagetdon/Armagetdon_frontend
-
Notifications
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- Fork 0
dogsub/Armagetdon_frontend-Hackathon-
Folders and files
Name | Name | Last commit message | Last commit date | |
---|---|---|---|---|
Repository files navigation
About
No description, website, or topics provided.
Resources
Stars
Watchers
Forks
Releases
No releases published
Packages 0
No packages published
Languages
- Swift 100.0%