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kip to content

서비스 프로바이더 분석서

Seungpil Park edited this page May 20, 2017 · 1 revision

서비스 프로바이더 등록과 수익분배

기능 수행 분석

  1. 벤더사는 따로 리스트업되지 않는다.(Account 가 곧 벤더사이므로) 단, Top 벤더사는 Organization 이다.

  2. 프로덕트는 프로덕트 소유자등록과, 벤더사의 수익 분배율을 정할 수 있다. 이 때 벤더 리스트는 다수일 수 있다.

    1. 플랜에 분배율이 명시되지 않았을 경우 프로덕트의 기본 수익 분배율을 가져온다.
    2. 수익 분배 리스트에 명시된 퍼센테이지의 합은 100을 넘지 않는다. 100이 안되는 경우 모두 Top 벤더(Organization) 의 소유이다.

    3 )각 fixed, recurring, usage 항목마다 개별적인 분배 설정을 프로덕트 로부터 Override 할 수 있다.

  3. 벤더사(Account) 입장에서

    1. 매출현황을 보았을 때, 자신의 매출,환불,인출,크레딧 전환,잔액 집계를 볼 수 있다.
    2. 제공필터 : 프로덕트 아이디, 플랜 네임, 유서지 네임, Fixed, Reccuring,Usage Amount, Startdate, Enddate
  4. Organization 입장에서

    1. 매출현황을 보았을 때, 전체 매출,환불,인출,크레딧 전환,잔액 집계를 볼 수 있다.
    2. 각 벤더사를 기준으로 전체 매출,환불,인출,크레딧 전환,잔액 집계를 볼 수 있다.
    3. 제공필터 : 벤더 아이디, 프로덕트 아이디, 플랜 네임, 유서지 네임, Fixed, Reccuring,Usage Amount, Startdate, Enddate
  5. 자신이 판매중인 프로덕트 리스트를 열람 가능.

수행 기관(포시에스) 와 논의된 점

포시에스가 예를 든 구글 앱스토어에서, 고객의 실제 결제된 금액, 실제 환불된 금액에 따라 매출액을 배분한다는 논리에 따라, 결제 시점 및 환불 시점에 분배 트랜잭션을 실행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있음.

하지만 빌링 시스템은 개별 상품(구독) 건에 대해 결제액을 측정할 수가 없고, 인보이스 단위(구독상품들의 집합) 에 따라 결제가 이루어진다. 문제는 인보이스마다 100% 결제 및 100% 환불이 일어나지 않고, 부분 결제, 부분 환불이 일어나는데, 이때의 결제 트랜잭션이 상품과의 연결고리가 없다. 따라서 결제, 환불이 일어날 때 정확히 어떤 상품인지 알 방법이 없으므로 인보이스 발급 및 인보이스 항목조정(환불) 시점으로 매출 통계를 내야한다.

예) 결제 트랜잭션 기준 매출 산정

  1. Invoice - 상품1 10$ - 상품2 5$ 발급됨.
  2. 해당 Invoice 에 대해 10 $ 만 결제.
  3. 어떤 상품에 매출을 잡아야 할지 알수없음.

예) 인보이스 기준 매출 산정

  1. Invoice - 상품1 10$ - 상품2 5$ 발급됨.
  2. 수익분배: 상품1 , 상품2 각각 매출 기록
  3. 상품1 을 항목조정함 10$ -> 5$
  4. 수익분배: 상품1 을 5$ 매출 삭감.
Clone this wiki locally