여기서 먼저 받으세요 ➡️ https://archlinux.org/download/ 윈도우🪟 유저라면 부팅 USB 를 만드세요 ➡️ https://rufus.ie/ko/ 리눅스 유저라면 다 아실꺼고 맥유저는 그냥 맥쓰시면 됩니다...
유선 인터넷의 경우 자동으로 연결됩니다.
iwctl
station wlan0 connect [WIFI이름]
[패스워드][엔터]
[quit][엔터]
다음 명령어를 실행하여 설치 스크립트를 다운로드 하면서 실행까지 합니다:
curl -O https://jaewoojoung.github.io/a/install.sh && chmod +x install.sh && bash install.sh
이 가이드는 아치리눅스를 쉽고 재미있게 한글로 설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자동 설치 스크립트 사용법을 설명합니다.
- UEFI 모드로 부팅해야 합니다
- 인터넷 연결이 필요합니다
- USB로 부팅된 아치리눅스 환경이 필요합니다
- 주의: 선택한 디스크의 모든 데이터가 삭제됩니다!
-
시스템 확인 🔍
- UEFI 모드 확인
- 키보드 레이아웃 설정 (기본: US)
-
하드드라이브 선택 💽
- 시스템의 모든 하드드라이브 목록이 표시됨
- 번호로 설치할 드라이브 선택
예시: 1. sda 500GB disk 2. nvme0n1 1TB disk
-
CPU 선택 🔧
1. Intel 2. AMD
-
계정 설정 👤
- 사용자 이름 입력
- 컴퓨터 이름(hostname) 입력
- root 비밀번호 설정
- 사용자 비밀번호 설정
-
설치 계획 확인 📋
- 데스크톱을 뭘로 할지 선택 (1번 KDE 고르시면 편합니다.)
- 3초 카운트다운 (취소하려면 Ctrl+C)
스크립트가 자동으로 다음을 수행합니다:
- 디스크 파티셔닝
- 기본 시스템 설치
- 한글 환경 설정
- KDE Plasma 데스크톱 설치
- 개발 도구 설치
- 한글 입력기(fcitx5) 설정
- 컴퓨터 완전 종료
- USB 제거
- BIOS 설정 변경:
- BIOS 기본값 로드
- 보안 부팅(Secure Boot) 비활성화
- UEFI 모드 설정
- 부팅 순서 설정
- 한글 입력 활성화
- 🌐 Firefox, Chromium
- 📝 LibreOffice (한글 지원)
- 💻 개발 도구 (VSCode, Git 등)
- 🎨 그래픽 도구 (GIMP, Krita)
- 🔧 시스템 도구
문제가 발생하면:
- 인터넷 연결 확인
- UEFI 모드 확인
fcitx5 --debug &
로 입력기 디버깅